사
과의 원산지는 카프카즈 북방지대라고 알려져 있는데
유럽의 중부지방에서 발견된 호서시대의 유물중에도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아서
그 재배 역사가 대단히 오래된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사과 나무속 식물의 원생종은 유럽, 아시아 및 북아메리카 대륙에 25종 정도가 분포되어 있는데
현재 재배되고 있는 품종은 주로 유럽과 서부 아시아에 분포된 원생종 중에서 개량된 것이고
아시아 동부와 북아메리카의 원생종 중에서는 계량된 품종이 거의 없다.
사과는 고대 그리스인과 로마인들에 의하여 애호되었고,
재배종은 주로 로마인들에 의하여 유럽 각국으로 전파되었다.
우리나라 사과재배의 시초는 자생능금의 재배에서부터 시작된다.
계림유사(1103년)에 의하면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능금의 어원은 임금으로서 숲에서 과실이 붉게 익을 때
새가 날아와 쪼아먹게 된데서 연유했으며, 내금으로도 불렀다.
이 임금은 발음이 나랏님과 같아 능금으로 불려졌다.
조선조(1649~1659)에 중국으로부터 유럽대륙의 능금속 사과가 전래되었으나 널리 재배되지는 못하고
종묘 제사용으로는 우리나라 능금중에 좋은 것을 사용하였다는 전래가 있으며,
현재 재배하고 있는 개량종 사과가 도입되어 경제적 재배를 하게 된 역사는 길지 않다.
1884년경부터 외국인 선교사를 통하여 각 지방에 몇 그루씩의 사과나무를 들여와 재식하기는 하였지만
성공한 예는 드물었고, 대부분 관상용으로 재배하는 정도였다.
근대적인 사과의 재배는 1901년 윤병수가 미국선교사를 통하여 다량의 사과나무 묘목을 들여와 원산 부근에 과수원을
조성하여 좋은 성과를 거두었는데, 이것이 우리나라 근대 사과재배의 효시라고 할 수 있으며 1906년 8월에 구한말
정부에서 뚝섬에 12ha 규모의 원예모범장을 설치하고 각국에서 국광, 축, 욱, 홍옥 등 사과 개량품종을 도입 품종비교,
재배시험 등을 실시하여 과수재배의 국가적 기초를 확립하였다.
일제식민지 하에서는 주로 일본인들이 많은 과원을 소유하여 재배하였으며,
해방 후 사과재배 기술의 부족과 낙후된 경제사정으로 크게 발전하지 못하였고
6.25사변으로 과원은 더욱 황폐해졌으나 휴전으로 더불어 우리나라 모든 기관이 정상으로
회복되면서 과수재배 기술의 갭라 및 연구활동이 본격화되었다.
1960년대 접어들면서 사과재배가 농가 소득작물로 권장되고 과실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크게 늘어났으며, 1970년대에는 사과의 외화재배를 계기로 우리의 사과재배기술이
크게 향상되었고, 사과의 유망성이 국민들에게 인식되기 시작하여 과수의 재배면적이
급진적으로 확대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우
리 문경지역의 사과재배 역사는 길지 않지만 1930년 경에 문경읍에 이름을 알 수 없는 분이 황해도
사리원에서 사과묘목을 구입하여 문경지역에 최초 재배하였고 그 후 일본인들이 사과 묘목을 들여와
문경, 가은, 마성 등지에서 재배하기 시작하여 점촌, 호계지역으로
점차 확대되었으며 이 시기의 주재배 품종으로는 홍옥, 국광, 축, 욱, 인도 등이었다.
해방 후 한국전쟁이 끝난 뒤 1960년대가 시작되면서 사과 재배면적은 49ha로 216m/t 를 생산 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되었고
1970년대는 사과의 외화재배 방법이 도입되면서 문경사과는 큰 전환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종전의 재배방식은 일반대목에 품종도 축, 국광, 홍옥, 인도, 골덴델리셔서 등으로 재배하였던 것을 준왜성
이중 접목묘인 MM106이 보급되면서 재배기술 및 사과 품질의 비약적인 발전을 해왔다.
1970년도 재배면적이 94.4HA로 1.134M/T를 생산하는 단계에서 1980년도는 454ha에 3,074m/t을, 1990년에는
771ha에 10,418m/t를, 1995년에는 1,428ha에 생산량은 29,666m/t을 현재 2002년 기준으로 1,382ha에 생산량이
24,171m/t로서 사과를 본격적으로 재배하기 시작한 1970년대에 비하면 약 25배, 10a당 생산량은 5배, 총생산량은 약 130배로
증가하였고 재배품종도 국광, 측, 인도, 욱, 골덴델리셔서, 홍옥 등에서 품질과 수량성이 뛰어난 후지를 비롯한
쓰가루, 양광, 홍월, 감흥, 홍로, 야다까등 고품질 신품종으로 많은 변화를 해왔다.
문경사과가 옛부터 많은 명성과 품질을 인정받게 된 이유는 먼저 천혜의 자연조건을 들 수 있다.
소백산맥을 분수령으로 충청북도와 경계를 이루고 동로의 천주봉에서 문경의 주흘산, 가은 희양산, 농암 청화산에 이르기까지
크고 작은 산줄기들이 무수히 발달되어 있어 우리 문경지역은 대부분 산간준령에 쌓인 작은 분지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지역적 특성에 우리 문경은 한반도 내륙성 기후의 특징인 온난화 기후와 알맞은 강우로 기상재해가 거의 없는
축복의 고장으로서 사과재배 최적지로 알려져 있다.
특히 문경사과는 사과 배대기인 7월 ~ 9월 사이 601mm의 강수와 당의 축적기인 9월~10월의 풍부한 일조량(436.7시간)
주야간의 일교차는 9월이 10.9도, 10월이 12.9도로 타 지역보다 3~4도 많음으로 전국 최고의 사과가 생산되어
80년대부터 전국에서 유일하게 납품조건이 가장 까다로운 미8군에 납품을 하게 되었으며,
현재 우리지역의 사과가 전국에서 높은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
이렇게 축복받은 문경에서 생산되는 사과의 당도가 타 지역보다 1~2도 BX정도 높고, 과즙이 많으며 육질이 단단하여
저장을 오랫동안 할 수 있어 생식을 할 경우 사과 고유의 향기와 맛 또한 일품으로 알려져 문경사과는 전국 제일의 사과로
우리지역 으뜸의 특산품이라 할 수 있다.